본문 바로가기
건강(다이어트,음식 등)

안구건조증 원인과 증상, 치료방법

by 바쁘다 곰탱 2022. 12. 26.

건조한 계절이 되면서 눈이 너무 건조하고 뻑뻑해집니다. 병원에 가보니 안구건조증이란 진단을 해 주시는데요. 안구건조증 원인과 증상, 치료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안구건조증 원인과 증상, 치료방법 썸네일

안구건조증이란?

‘안구건조증’은 눈물의 분비가 줄어들거나, 눈물은 많이 분비되더라도 그 성분에 변화가 생김으로써 안구 건조 등 여러 가지 증상이 나타나는 상태입니다.
눈물은 세 층으로 이루어져 있는데요.

가장 안쪽 층은 점액층으로, 수성층이 고르게 펴지게 하는 역할을 합니다. 
중간층은 수성층으로, 눈물층의 대부분을 형성합니다. 눈을 촉촉하게 유지하고, 눈에서 이물질을 제거하며, 가장 바깥층은 지방층으로, 수성층의 증발을 막는 역할을 해요


나이가 들거나, 눈물을 분비하는 데 관여하는 눈 구조물들에 염증, 외상 등의 손상이 생기면 안구 건조증이 발생할 수 있어요

 

 

 

 

안구건조증 발생 원인

여자의 초록색 눈 사진

안구건조증 발생 원인은 다양합니다.

 

🔽 노화
가장 흔한 원인으로, 정상적인 노화 현상에 의해 눈물의 분비량이나 눈물의 상태가 변합니다.

 

🔽 동반 질환
류머티즘성 관절염, 쇼그렌 증후군(입, 눈 등 몸 전체 점막에 염증이나 건조가 발생하는 류마티스 질환), 루프스, 공피증, 당뇨병, 비타민A 결핍증 등의 질병이 있으면 눈물 생산량이 줄어들어요.


🔽  만성 결막염
만성적인 염증에 의해 결막에서 점액 분비선 역할을 담당하는 술잔 세포들이 줄어들면 점액 분비량이 적어집니다. 이로 인해 수분을 점액층에 붙잡아 둘 수 없어서 눈물층 중 수성층이 눈물관을 통해 코로 흘러나가 버립니다.


🔽  갑상선 질환
갑상선기능항진증으로 인해 눈이 커져서 과도하게 눈물이 증발할 수 있습니다.. 또는 갑상선기능저하증으로 인해 눈물 생성이 감소할 수도 있어요


🔽  여성호르몬 감소
갱년기 때 여성호르몬이 감소해 눈물 생성이 줄어듭니다. 

 

 

 

 

 

 


🔽  약물 복용
항생제, 항히스타민제, 이뇨제, 지사제, 스코폴라민과 같은 부교감신경 차단제, 고혈압 치료를 위한 베타차단제, 수면제, 피임약, 일부 여드름 치료제, 일부 항우울제, 일부 마취제 등 눈물 생성을 감소시키는 약물 때문에 눈물이 마를 수 있어요.


🔽  환경 요인
주위 환경이 건조하거나, 연기나 먼지 자극, 햇볕, 바람 등으로 눈이 자극되거나, 독서나 컴퓨터를 하면서 무의식 중에 눈을 깜박이는 횟수가 줄어들면 ‘안구건조증’이 생기기 쉬워요


🔽  기타
방사선이나 염증으로 인한 눈물샘 손상, 각막의 예민성 감소, 과도한 눈물 증발, 눈꺼풀 문제(눈꺼풀 속말림, 눈꺼풀 겉말림, 눈꺼풀염) 등으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안구건조증 증상

 

‘안구건조증’의 증상으로는 눈의 자극감, 모래가 굴러가는 것 같은 이물감, 눈이 타는 듯한 작열감, 침침하다고 느끼는 눈의 불편감, 가려움, 눈부심, 갑작스러운 과다한 눈물 등이 있어요.


증상이 나타날 때 눈을 감고 있으면 다소 편하게 느껴지기도 합니다. 이러한 증상은 건조한 환경에서 장시간 집중하여 눈을 사용할 때 심해지는데요. 또는 바람이 많이 부는 곳, 햇빛이 강렬한 곳, 공기가 혼탁한 곳 등에서도 심해집니다. 오후로 갈수록 불편감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아요

 

 

 

안구건조증 치료방법

 

🔽  인공 누액 통한 눈물 공급
‘안구건조증’의 가장 보편적인 치료 방법은 인공 누액을 이용해 모자라는 눈물 성분을 공급해 주는 것입니다. 인공 누액을 항상 휴대하면서 불편감을 느낄 때마다 자주 점안하는 것이 좋습니다.
연고 형태, 안약과 연고의 중간 정도인 묽은 젤리 형태 등 여러 종류의 점안액이 있으므로, 자신의 눈에 편한 것을 고르는 것이 좋습니다. 안검염으로 인한 안구 건조증에는 IPL(Intense Pulsed Light) 치료가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눈꺼풀 청소
눈꺼풀 청소는 눈물의 지방층을 회복시켜 눈물의 증발을 줄이고 ‘안구건조증’을 호전시킬 수 있습니다. 면봉에 깨끗한 식염수나 안과에서 처방받은 연고를 발라서, 속눈썹이 나오는 부위를 하루 2~3회 정도 닦아 줍니다.


🔽  눈물점 폐쇄
눈물이 배출되는 눈물점을 막으면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이때 ‘안구건조증’ 정도에 따라 아래쪽 또는 위, 아래 모두를 막을 수도 있고,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막을 수도 있어요. 눈물점을 제거할 수 있는 기구를 삽입할 수 있고, 전기로 소작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약물 요법을 시행하면서 환경 요인에 신경 써 주셔야 합니다. 먼지가 많은 작업장을 피하시고, 건조한 곳에는 가습기를 틀어서 공기를 습하게 만들어 주세요.
장시간 독서나 운전, 컴퓨터 작업을 할 때는 자주 눈을 깜박이거나 휴식을 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알레르기성 결막염, 안검염 등이 동반되었을 때에는 병원에 방문하셔서 치료를 병행해야 합니다.

 


[자료]건강보험심사평가원 블로그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백내장의 원인과 증상, 예방법

 

백내장의 원인과 증상, 예방법

요즘은 스마트폰을 거의 하루종일 보고 있고, 심지어 어두운 곳에서도 계속 보게 됩니다. 그러다 보면 어느 순간 눈도 침침하고, 시력이 많이 나빠진 느낌을 받게 되는 돼요. 이런 시력 저하의

ak13.miri-main.com

 

댓글